-
개인 공간에서 서버 운영하기 어려운 이유는? 왜 서버 운영을 따로 하즤?IT 용어 정리(IT 지식정도?) 2020. 3. 19. 23:48
왜 서버 운영은 따로 업체를 써서 할까?
개인사업자가 쇼핑몰을 운영한다고 치자
그러면 온라인 쇼핑몰이니까 오프라인과는 다르게 운영시간의 의미가 없자나여
그니까 24시간 365일내내 컴터를 풀가동을 시켜야하는데
이 컴터라는게 과부하가 일어날수도 있고, 전원의 문제가 있음. 이게 뭐냐면 개인공간에서 서버 작업을 하다가 예상치 못한 상황땜에 컴터의 전원이 나갈 수 있다는 말임.
예상치 못한 상황이라는건 컴터에 물이 들어갔거나 물리적 타격을 받아서 메모리가 손상이 됬거나..등등 컴터의 전원이 나가면 이전 메모리가 다 날아가 버리는 등등의 문제가 속출함
그래서 서버 컴터 운영에 최적화된 환경이 따로 필요함 이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만들어진 회사가 aws, azure.등등이 있음. 서버에 필요한 컴터 대여,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런 회사들은 특정 장소에 있는 서버컴터(회사가 대여해주는 서버 컴터를 모아두는 공간이 따로 잇음)에 프로그램을 올리기 위해서 원격제어 기능을 이용한다.
서버개발자가 서버컴터에 일을 시킬 수 있도록하기 위해서이다.
** 서버 :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해주는 일(ex. 로그인 응답, 결제처리) 프로그래머가 직접실행, 서버를 돌아가게 하는 os는 주로 리눅스를 씀, 서버용 컴터가 따로 있는 거라서 서버도 결국 컴터라는 얘기
reference))
AVOCADO
튜터와 함께하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입니다.
www.gipp.co.kr
'IT 용어 정리(IT 지식정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ent(request) ↔ Server(response) (0) 2020.03.21 UI?? API?? 이런건 누가 만들까? (0) 2020.03.20 리눅스는 뭐고 어디에서 어케 쓰이나??? (0) 2020.03.15 대체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뭘까? (0) 2020.03.15 카톡 앱을 다운받고 실행해서 동영상 다운받는 과정은 어케 된 일일까? (0) 2020.03.14